생성형ai 2

NotebookLM으로 내 글 팟캐스트 만들기 (동음이의어는 왜 사라지지 않을까?) ...+ 한글날이면 언어덕후는 속이 터진다

1. 동음이의어 글을 NotebookLM에 넣어서 가상의 팟캐스트로 만들어 보았다.   ​갑자기 왜 이런 일을 했는고 하니,발단은 이렇다.​독일의 언어학자 Martin Haspelmath가 페이스북에 재미있는 글을 하나 올렸다.   페이스북 링크 요약하자면,굴절과 파생에 대한 자기 논문을 Google NotebookLM에 넣어서 팟캐스트로 만들었다는 내용이다.(직접 해 보니, 하스펠마트가 말하듯 전혀 어렵지 않다.)​사진 밑에 달아 둔 링크에 들어가서 하스펠마트가 올린 dropbox 링크를 눌러 보면 실제로 들어 볼 수 있다.​일단은 실제 팟캐스트처럼 들리는 퀄리티에 놀랐고,​한 쌍의 남녀가 정말 팟캐스트 진행자같은 말투로, 사뭇 진지한 태도로언어덕후나 이야기할 것 같은 주제를 열심히 다루는 걸 보니 웃..

언어학 2024.10.10

ChatGPT에게 '음운 규칙 프로그램'의 코딩과 디버깅을 시켜 보았다

뒤늦게지만 ChatGPT에게 코딩을 시켜 보았다. 명령어 하나하나마다 어떤 기능을 하는 건지 설명하는 주석도 잘 달아 주고 아주 친절하게 짜 준다. 처음엔 어느 정도 개선의 여지가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는 것 같지만, 간단한 말로 피드백을 주면 알아서 잘 반영하고 디버깅한다. 생각보다 재미있고 놀랍다. 무료 버전(3.5)인데도 말을 잘 알아들어서 신기하다. 언어와 매체 국어 문법 시간에 익히 배워 알고 있듯이, 한국어의 예사소리(평폐쇄음과 평파찰음)는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바뀐다. 예를 들어 /ㄱ/은 어두에서 무성파열음 [k]로 실현되지만,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파열음 [g]로 실현된다. 이 규칙을 적용하여, /k/ 등을 받아서 그 앞뒤에 있는 음소가 유성음인지 체크하고 그들이 유성음이면 /k/..

언어학 2024.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