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com/shorts/eR38ceQeLj8?feature=share
작년 신혼여행 출국길에 두바이 공항을 경유했다.
(신혼여행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차차 올려 보겠다.)
두바이에 내리고 얼마 안 되어서, 공항에 큰 소리로 어떤 아랍어 방송이 나왔다.
아랍어를 모르니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는데, 어쨌든 난생 처음 듣는 방송이었다.
처음 듣는 소리이기는 했지만,
이내 어렸을 때 '가로세로 세계사'에서 읽었던 '무슬림들의 기도 시간 알림'인가 보다, 하고 추측할 수 있었다.
그때는 그걸 뭐라고 부르는지 몰랐는데, 최근에 검색해 보고 '아잔'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잔'의 원어는 아랍어 أذان이다.
로마자로는 대략 'adhān과 같이 옮길 수 있고, ('는 성문 파열음)
국제음성기호로는 ʔaˈðaːn 이 된다. (영문 위키백과 복붙)
여기서 'dh' 부분은 유성 치(간) 마찰음 voiced (inter)dental fricative, 즉 ð 소리인데,
영어의 /ð/가 우리말에서 보통 'ㄷ'로 옮겨지는 것을 생각하면,
아랍어의 ʔaˈðaːn에 대해 '아단'이 아니라 '아잔'이라는 표기가 쓰인다는 사실은 다소 의외롭다.
좀 생각해 보니,
영어 단어가 일본어로 차용될 때 /ð/가 /z/로 받아들여진다는 사실이 떠올라서,
(국내에서는 father: '화자-', mother: '마자-', brother: '부라자-'라는 사례가 유명하다.)

처음에는 'adhān 이 '아잔'이 된 까닭이 이 단어가 일본어를 거쳐 들어왔기 때문인가 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아랍어 내에서도 /ð/를 /z/로 바꿔 버린 방언이 많다고 한다.
최진영(2023) 저 <구어체 아랍어 연습>에 따르면 일단 이집트 방언이 그렇고, 히자즈 방언에서도 그런 경우가 있다.*
또 아랍어 바깥으로 나가더라도,
(주로 종교적인 이유로) 아랍어의 어휘를 다수 차용한 언어는 아주 많은데,
그 중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터키어(튀르키예어), 인도네시아어를 비롯한 수많은 언어에서
아랍어의 /ð/는 /z/로 받아들여졌다.





덤으로 일본어에서도 z이다
(출처: wiktionary أذان)
음운론의 유형론 데이터베이스 phoible에서 유성 치 마찰음 ð를 찾아 보면,
세계 언어 중 이 소리를 음소로 갖고 있는 언어는 겨우 5%에 불과하다고 한다.

Phoible에 등록되어 있는 3000개 가량 되는 언어 중 겨우 160개 언어에만 /ð/라는 음소가 있는 것이다.
역시 유형론적으로 특이한 음소라 그런가 있는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잘 없는 모양이다.
(영어의 ð가 방언별로 달라지는 양상 또한 참고가 된다. 상술한 아랍어 ð의 방언별 차이와 놀랍도록 유사하다.)
Pronunciation of English ⟨th⟩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ounds spelled with the digraph ⟨th⟩ In English, the digraph ⟨th⟩ usually represents either the voiced dental fricative phoneme /ð/ (as in this) or the voiceless dental fricative phoneme /θ/ (as in thing). Oc
en.wikipedia.org
아무튼 한국어에 들어온 'adhān이 '아잔'으로 모습을 바꾼 것은,
어떤 방언이나 차용어에서 만들어진 'azān 류의 어형이 매개가 된 것 아닐까 싶다.
* 처음에는 이 책의 존재를 잊어버리고 언어학 카톡 방 아랍어 파생방 방장님께 여쭤 보았었다. 방장님이 알려주신 자료에서는 코크니 영어나 흑인영어처럼 v로 바뀌는 사례도 있었다.
+ 영상에서 언급했듯이 치 파열음 d에 합류시켜 버린 방언도 있다.
아무튼 이런 방언들은 보통 유성음 /ð/만 바꾼 것이 아니고 치간 마찰음 계열 전체를 유사하게 바꿨다. 전체를 파열음으로, 전체를 치찰음으로 etc.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키 사극 <위대한 세기> 1화 감상 + 튀르크어족의 역사 약간 (feat. 야쿠트어) (3) | 2024.11.13 |
---|---|
스와힐리어가 재미있는 이유 (feat. 듀오링고, 언어평등) (5) | 2024.11.10 |
수어(수화)는 세계공용어가 아닙니다 - 유튜브 영상 (9) | 2024.10.12 |
NotebookLM으로 내 글 팟캐스트 만들기 (동음이의어는 왜 사라지지 않을까?) ...+ 한글날이면 언어덕후는 속이 터진다 (9) | 2024.10.10 |
DDP 수어문자 타이포그래피 전시회 - <문자의 다양한 형태들>展 (4) | 2024.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