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이슬람교 기도 시간 알림 '아잔'의 표기에 관한 짧은 영상 (feat. 화자 마자 브라자)

cha5ylkhan 2024. 11. 4. 22:27

https://youtube.com/shorts/eR38ceQeLj8?feature=share

 


작년 신혼여행 출국길에 두바이 공항을 경유했다.

(신혼여행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차차 올려 보겠다.)

두바이에 내리고 얼마 안 되어서, 공항에 큰 소리로 어떤 아랍어 방송이 나왔다.

아랍어를 모르니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는데, 어쨌든 난생 처음 듣는 방송이었다.

처음 듣는 소리이기는 했지만,

이내 어렸을 때 '가로세로 세계사'에서 읽었던 '무슬림들의 기도 시간 알림'인가 보다, 하고 추측할 수 있었다.

그때는 그걸 뭐라고 부르는지 몰랐는데, 최근에 검색해 보고 '아잔'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잔'의 원어는 아랍어 أذان이다.

로마자로는 대략 'adhān과 같이 옮길 수 있고, ('는 성문 파열음)

국제음성기호로는 ʔaˈðaːn 이 된다. (영문 위키백과 복붙)

여기서 'dh' 부분은 유성 치(간) 마찰음 voiced (inter)dental fricative, 즉 ð 소리인데,

영어의 /ð/가 우리말에서 보통 'ㄷ'로 옮겨지는 것을 생각하면,

아랍어의 ʔaˈðaːn에 대해 '아단'이 아니라 '아잔'이라는 표기가 쓰인다는 사실은 다소 의외롭다.

좀 생각해 보니,

영어 단어가 일본어로 차용될 때 /ð/가 /z/로 받아들여진다는 사실이 떠올라서,

(국내에서는 father: '화자-', mother: '마자-', brother: '부라자-'라는 사례가 유명하다.)

처음에는 'adhān 이 '아잔'이 된 까닭이 이 단어가 일본어를 거쳐 들어왔기 때문인가 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아랍어 내에서도 /ð/를 /z/로 바꿔 버린 방언이 많다고 한다.

최진영(2023) 저 <구어체 아랍어 연습>에 따르면 일단 이집트 방언이 그렇고, 히자즈 방언에서도 그런 경우가 있다.*

또 아랍어 바깥으로 나가더라도,

(주로 종교적인 이유로) 아랍어의 어휘를 다수 차용한 언어는 아주 많은데,

그 중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터키어(튀르키예어), 인도네시아어를 비롯한 수많은 언어에서

아랍어의 /ð/는 /z/로 받아들여졌다.

덤으로 일본어에서도 z이다

(출처: wiktionary أذان)

음운론의 유형론 데이터베이스 phoible에서 유성 치 마찰음 ð를 찾아 보면,

세계 언어 중 이 소리를 음소로 갖고 있는 언어는 겨우 5%에 불과하다고 한다.

Phoible에 등록되어 있는 3000개 가량 되는 언어 중 겨우 160개 언어에만 /ð/라는 음소가 있는 것이다.

역시 유형론적으로 특이한 음소라 그런가 있는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잘 없는 모양이다.

(영어의 ð가 방언별로 달라지는 양상 또한 참고가 된다. 상술한 아랍어 ð의 방언별 차이와 놀랍도록 유사하다.)

 

 

Pronunciation of English ⟨th⟩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ounds spelled with the digraph ⟨th⟩ In English, the digraph ⟨th⟩ usually represents either the voiced dental fricative phoneme /ð/ (as in this) or the voiceless dental fricative phoneme /θ/ (as in thing). Oc

en.wikipedia.org

 


아무튼 한국어에 들어온 'adhān이 '아잔'으로 모습을 바꾼 것은,

어떤 방언이나 차용어에서 만들어진 'azān 류의 어형이 매개가 된 것 아닐까 싶다.

* 처음에는 이 책의 존재를 잊어버리고 언어학 카톡 방 아랍어 파생방 방장님께 여쭤 보았었다. 방장님이 알려주신 자료에서는 코크니 영어나 흑인영어처럼 v로 바뀌는 사례도 있었다.

+ 영상에서 언급했듯이 치 파열음 d에 합류시켜 버린 방언도 있다.

아무튼 이런 방언들은 보통 유성음 /ð/만 바꾼 것이 아니고 치간 마찰음 계열 전체를 유사하게 바꿨다. 전체를 파열음으로, 전체를 치찰음으로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