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광동어와 베트남어 한자음의 비교 - 日과 一

cha5ylkhan 2022. 10. 23. 14:25

광동어를 공부하는 재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개인적으로 한자의 발음을 다른 언어와 비교해 보는 게 특히 재미있다.

분절음(자음과 모음)의 비교도 재미있지만, 성조의 비교가 또한 아주 흥미롭다.

 

광동어와 표준 중국어(Mandarin)와의 성조 비교도 재미있겠지만 거기에 대해서는 별로 아는 바나 생각해 본 바가 없고,

광동어처럼 한자음에서 입성을 유지하고 있는 (-k, -t, -p 받침이 남아 있는) 베트남어 한자음과 광동어를 비교하는 게 재미있다.

 

이를테면 이런 것들이다.

 

날 일日과 한 일一은 한국 한자음으로는 모두 '일'이다. (일종의 '성조(?)'로 구분되기도 하지만)

 

광동어와 베트남어에서도 日과 一의 자모음 구성은 서로 같다. 광동어에서는 둘 다 '', 베트남어에서는 둘 다 ''이다.

그러나 광동어도 베트남어도 성조를 통해 둘을 구분한다.

 

은 광동어로 jat6 (낮은 음)

은 광동어로 jat1 (높은 음)

 

은 베트남어로 nhật (낮은 음)

은 베트남어로 nhất (높은 음)

 

직접 들어 보면 각각 높낮이도 서로 유사해서 아주 재미있다.


개인적으로 이건 (누가 알려주기 전에) 직접 발견(?)했기에 더욱 흥미를 느끼고 기억에 오래 남길 수 있었던 것 같다.

당연한 말이지만 이런 건 그냥 광동어랑 베트남어를 조금만 배우면 금방 눈치챌 수 있는 새삼스러운 사실이다.

그래서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옛날부터 왜 저런 현상이 생겨났는지, 예외는 무엇이 있으며 예외는 또 왜 생겨났는지 세세하고 아름답게 정리해 왔다.

(궁금한 사람은 한어음운학, 중국어음운학, 중고한어 등의 키워드를 찾아보면 된다.)

 

그렇지만 만약 누군가가 내게 그런 내용을 더 자세히, 더 많이, 더 잘 정리된 형식으로 알려주었다면,

광동어와 베트남어가 日과 一를 서로 비슷한 방식으로 구분한다는 사실은 내게 그만큼 흥미롭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내가 베트남어를 직접 배우고 광동어를 직접 배우면서, 내가 배운 베트남어와 내가 배운 광동어에서 내가 느낀 사실이기 때문에 그만큼 깊이 기억에 남았던 것이 아닐까 싶다.

 

듀오링고로 광동어를 공부하다가 문득 떠올라서 블로그에 적어 본다.


그러면 광동어와 베트남어는 왜  낮은 음으로,  높은 음으로 발음하게 되었을까?

그 변화의 정확한 동인이나 과정은 잘 모르겠지만, 조금씩 주워들어 온 지식의 파편들을 이용해서 표면적인 패턴을 찾아볼 수는 있었다. (보다 자세한 이유를 아시는 분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선 광동어와 베트남어 한자음의 공통조상이 되는 중고 한어(Middle Chinese)에서 日과 一의 자모음 구성은 서로 달랐다.

日은 대략 '닛', 一은 대략 '잇'이었다. 초성(성모)이 각각 달랐던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일본 한자음(오음)에서 日이 'にち(니치)'이고 一이 'いち(이치)'라는 데에서도 드러난다.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 日는 rì이고 一는 yī인 것도 중고한어의 이러한 초성 차이가 반영된 것이다.

 

모종의 이유로,

 

광동어에서는 원래 '닛'이었던 日이 초성의 'ㄴ'을 잃고 (모음~운복 또한 바뀌면서) jat('얏')이 되어서 원래 '잇'이었던 一과 발음이 같아졌고, (정확히는 一 또한 초성의 성문파열음을 잃었다)

 

베트남어에서는 반대로 원래 '잇'이었던 一이 초성에 'ㄴ'을 얻고 (모음~운복 또한 바뀌면서) nhât('녓')이 되어서 원래 '닛'이었던 日과 발음이 같아졌다.

 

그러나 日과 一 모두 성조를 통해 중고한어 초성의 원형을 반영하고 있다.

 

처음에 중고한어에서 평平, 상上, 거去, 입入 네 개로 구분되던 성조는 각 한자음의 초성에 따라 각자 다양하게 나뉘고 합쳐졌다. 주로 b, d 등 유성(장애)음 초성, m, l 등 비음이나 유음 초성, p, t 등 무성(장애)음 초성의 세 가지로 나뉘었다.

 

영문 위키백과의 Four tones (Middle Chinese) 문서에는 현대 중국어의 다양한 방언(또는 Sinitic Languages)에서 그러한 성조의 분화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방대한 표가 실려 있다.

 

그 중에 광동어와 베트남어만 보자면 이렇게 되고,

문제가 되는  은 위에서 각각 파란색 주황색 네모 박스의 내용에 해당한다.

 
중고한어에서

의 초성은 성문 파열음이었는데, 이것은 위 표에서 'voiceless'에 해당하고 (주황색)
(一의 모음이 단모음이었다는 정보가 추가로 필요하다. 그러니까 '八'칸이 아니라 '北'칸을 봐야 한다.)

의 초성은 'ㄴ'과 비슷한 발음이었는데, 이것은 위 표에서 'voiced son(orant)'에 해당한다 (파란색)

 

주황색 영역에서 광동어의 성조 '5'와 베트남어의 성조 '45'는 둘 다 높은 음으로서 위에서 말했던 '一jat1'과 '一nhất'의 성조를 나타낸다.

파란색 영역에서 광동어의 성조 '2'와 베트남어의 성조 '21'은 둘 다 낮은 음으로서 위에서 말했던 '日jat6'과 'nhật'의 성조를 나타낸다.

 

요컨대, 광동어와 베트남어의 日과 一은 중고한어 시기의 초성을 그대로 갖고 있지는 않지만

중고한어 시기의 초성이 성조에 남긴 흔적은 그대로 갖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초성 변화가 초성에 의한 성조 분화 이후에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https://en.m.wikipedia.org/wiki/Four_tones_(Middle_Chinese)

 

Four tones (Middle Chinese) - Wikipedia

The four tone classes of Chinese  ꜂上 shǎng   去꜄  qù  ꜀平  píng  入꜆  ru(ʔ)  The four tones of Chinese poetry and dialectology (simplified Chinese: 四声; traditional Chinese: 四聲; pinyin: sìshēng) are four traditional ton

en.m.wikipedia.org

 

+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KLO, Korea Linguistics Olympiad)의 제일 최근 대회(21/22년도)에서 광동어와 베트남어의 한자음을 대조하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홈페이지에 기출문제가 공개되어 있다.

21/22년도 문제는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정답지는 여기

광동어와 베트남어 한자음 문제는 4번 문제이다. 머리 쓰기를 좋아하는 분들은 한번 풀어 보아도 좋겠다.

 

https://krlo.co.kr

 

한국언어학올림피아드 | Korea Linguistics Olympiad

한국언어학올림피아드(KLO) 공식 홈페이지. 대회요강, 기출문제, 언어 및 언어학 관련 자료 수록. 국제언어학올림피아드(IOL) 국가대표 선발.

krlo.co.kr